본문 바로가기

ynawhocodes' TIL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
Git

(3)
GitHub organization public 설정 방법 / 공개 organization 설정 방법 1. GitHub 계정 로그인후 Your profile 클릭 2. 원하는 organization 클릭 3. Settings > Member privileges 클릭 4. 공개 여부 설정 💡 Public이 안눌린다면? private을 클릭하면 public으로 설정된다 5. People 클릭 6. 멤버 공개 여부 설정 7. 로그아웃을 해도 프로필에서 organization 확인이 가능하다 🔗 참고링크: docs.github.com/en/github/setting-up-and-managing-organizations-and-teams/restricting-repository-creation-in-your-organization Restricting repository creation in your organi..
유진이를 위한 git 요약 유진아 먼저 바탕화면에 폴더를 생성해 왜냐면 그저 이건 정리를 위한 거야 자 이해했지 그럼 시작한다 1. VScode로 생성한 폴더를 열어 2. terminal을 켜 이제 명령어 갈기자 3. git init git 초기화 4. git clone [복사해온 URL] *이때 복사해온 URL은 초록색버튼 눌러 뜨는 URL로 마지막에 .git이 있어야함 설명) 깃허브의 레포지토리를 너의 컴퓨터로 가져오기 위함이지 5. cd [새로생긴 폴더] clone을 했으면 폴더가 하나 생겼을거야 거기가 원격에 있는 개발 환경을 복제한 곳, 앞으로 여기서 개발해야해 6. git remote add [별칭] [원격 git URL] *여기서 git URL은 창 위에 뜨는 url을 복사해야함 설명) 매번 URL을 복붙하긴 힘들잖아..
Cli) Pull request: 협업할 때 자주 사용하는 pull request 쉽게 알아보기 Cli로 pull request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*^-^* 순서 0. 전체적인 흐름 이해 1. fork 2. clone 3. branch 생성 4. 코드 수정 5. pull request 6. merge pull request 7. merge후 동기화 및 branch 삭제 0. 전체적인 흐름 이해 pull request를 자세히 알아보기전 순서도를 먼저! 살펴보겠습니다 크게 살펴보자면 먼저 공유할 레포지토리를 로컬의 내 레포지토리로 가져온 후, 내 레포지토리에서 브랜치를 생성하여 코드를 수정합니다 그리고 다시 깃허브에 업로드 합니다 이때 원본 코드와 내가(또는 팀원이) 수정한 코드를 합치기위해 협력자에게 branch 병합을 요청하는 메세지를 보내는 것이 pull request입니다 *유의사항 로..